에스페란토 운동

대표시청각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6209
한자 -運動
영어의미역 Esperanto Language Movement
이칭/별칭 국제어 운동,세계어 운동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정렬

    [상세정보]

    성격 사회 운동
    관련인물/단체 이종률|이종하|박지홍|한국에스페란토협회 부산 경남 지부
    발생|시작 시기/일시 1926년 8월연표보기 - 부산 노동 야학교에서 에스페란토 강습회 개최
    전개 시기/일시 1945년 12월 15일연표보기 - 조선에스페란토학회 창립
    전개 시기/일시 1949년연표보기 - 에스페란토 기관지 『Nove Bakito』 발행
    전개 시기/일시 1957년 4월 - 한국에스페란토학회 재건
    전개 시기/일시 1972년 11월연표보기 - 에스페란토고려소학회 설립
    전개 시기/일시 1975년 - 한국에스페란토협회 통합
    전개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한국에스페란토협회 부산 경남 지부 결성
    전개 시기/일시 1981년연표보기 - 계간지 『TERANO』, 월간지 『TERanidO』 창간
    전개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부산에서 제1차 한국 청년 에스페란토 대회 개최
    전개 시기/일시 1999년 - 지산간호보건학원에 에스페란토 강좌 개설
    전개 시기/일시 2000년연표보기 - 부산 에스페란토 문화원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0년 - 홍명희, 한국인 최초로 에스페란토 학습 보급
    발생|시작 장소 부산 노동야학교 - 부산시 중구 영주동지도보기
[정의]
일제 강점기 이후 현재까지 부산을 비롯한 각지에서 확산된 대안 언어 운동.

[역사적 배경]
에스페란토는 1887년 폴란드인 자멘호프[L. L. Zamenhof, 1859~1917]가 언어 패권주의에 반대하여 창안한 대안 언어이자, 국제적 소통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국제간의 이해와 평화를 추구하고자 만든 국제어이다. 한국인으로는 홍명희가 1910년 중국 상하이에서 에스페란토에 입문한 이래 1920년 김억이 서울에서 강습회를 개최하고 문학 동인지에 에스페란토 시를 발표하였다. 같은 해에 조선에스페란토협회가 창립되었다. 이후 유봉영, 신봉조, 최해청, 안우생, 홍형의, 정지용, 오상순, 백남규, 박헌영, 석주명, 이종률 등 지식인들이 에스페란토를 학습해 문학, 교육, 국제 교류와 민족 해방을 위해 활용하였다. 부산에서는 1926년 8월 백남규[1891~1956, 수학자]가 영주동의 노동 야학교에서 에스페란토 강습회를 개최하였다.

[경과]
해방 이후인 1945년 12월 15일 조선에스페란토학회가 창립되고, 8·15 해방 직후와 6·25 전쟁의 혼란 속에서 이재현, 이종률 등이 부산에서 에스페란토의 홍보와 강습 활동을 재개하였다. 1949년 이재현[1917~1997, 뒤에 한국에스페란토협회 부회장]은 에스페란토 기관지 『Nove Bakito』를 발행하였고, 1951년 이종률[부산대학교 정치학과 교수]이 에스페란토 보급 활동에 참여하였다.

1957년 4월 한국에스페란토학회가 대구에서 재건되었으며, 1972년 11월 부산에서 이종률을 거점으로 ‘에스페란토고려소학회’라는 조직이 복구되었다. 1973년 이종률이 에스페란토 관련 단체들의 통합을 촉구하면서, 1975년 한국에스페란토협회[회장 최덕신, 부회장 이종하]로 통합되었다. 그 뒤 1980년 청년 학생층을 중심으로 한국에스페란토협회 부산 경남 지부[회장 이종하]가 결성되어, 교육과 홍보 및 학술 활동과 국제 민간 교류 등을 이어오고 있다.

한국에스페란토협회 주도로 초급 강습회가 여러 차례 열렸는데, 1973년 서길수 교수의 지도 아래 280명이 참석하고, 1980년에는 박기완의 지도 아래 40명이 참석하여 유능한 에스페란티스토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하는 에스페란토 조직의 활동이 1980년대 들어 특히 활발해졌다. 1981년 한국에스페란토협회 부산 경남 지부에서는 계간지 『TERANO』, 월간지 『TERanidO』를 창간하였다. 『TERanidO』는 2011년 10월 현재 제180호가 발간되었다.

1980년 부산대학교, 산업대학교[현 경성대학교], 동아대학교에 에스페란토학회[동아리]가 창립되어 대학생 에스페란토 운동을 이끌어오고 있다. 2011년 현재 고등학교로는 이사벨고등학교에서 에스페란토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다. 1985년 부산 경상남도 지부장으로 선용[아동 문학가]이 취임하였으며, 1987년 부산에서 제1차 한국 청년 에스페란토 대회가 개최된 이래 1991년 제23차, 2000년 제32차, 2008년 제40차 한국 에스페란토 대회가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결과]
1999년 지산간호보건학원에 에스페란토 강좌가 교양 과목으로 개설되었다. 2000년 지산간호보건학원 내에 부산 에스페란토 문화원[원장 장정렬]이 설립되어 번역, 문화 활동, 교육을 계속하고 있다. 한국에스페란토협회에서는 매년 스승의 날인 5월 15일에 에스페란토 운동에 헌신한 인물을 선구자로 제정하여 그 공로를 치하하는 기념식을 거행하고 전기물을 발간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2008년 이종하[부산경성대학교 교수], 2011년 이종률, 2012년 박지홍[부산대학교 교수]을 선구자로 제정하였다.

[의의와 평가]
에스페란토 운동은 호혜 평등에 기초를 둔 평화적 국제 질서를 추구하는 시대적 흐름의 산물이다. 또한 언어 패권주의를 주도하는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저항의 사상을 포함하고 있어서, 일제 강점기 국내외의 반제국주의 항일 투쟁에도 활용되었다.

2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