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면 3·1 운동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0722
한자 機張面三-一運動
영어의미역 March 1st Movement at Gijang-myeon
이칭/별칭 기장읍 3·1 운동,기장장터 3·1 운동,기장면 3·1 운동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읍내로77번길 7[동부리 320]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선화

    [상세정보]

    성격 독립 만세 운동
    관련인물/단체 김도엽|권철암|구수암|최기복|이택규|박공표|오기원|장봉기|최학림|최창용|권종태[권종철]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4월 5일연표보기 - 기장 장터에서 시위
    종결 시기/일시 1919년 4월 10일연표보기 - 기장공립보통학교에 모여 가두행진을 하며 이튿날까지 시위
    발단 시기/일시 1919년 3월 13일 - 서울에서 온 김수룡이 김도엽 등에게 독립 선언서 전달
    전개 시기/일시 1919년 4월 8일 오후 10시 - 기장 일대에서 노동자, 여성들 주도로 시위
    발생|시작 장소 기장 장터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306-9 일대지도보기
    종결 장소 기장공립보통학교[현 기장초등학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320지도보기
[정의]
1919년 4월 기장면 일대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

[개설]
1919년 4월 5일과 8일, 10일에 걸쳐 기장 장터와 기장공립보통학교 등 기장면 일대에서 일어난 항일 독립 운동이다.

[역사적 배경]
전국으로 퍼져나가던 3·1 운동과 3월 13일에 있었던 동래 장터 3·1 만세 운동의 소식이 기장 일대에 전해지고, 서울 모 신문사에 다니던 김수룡(金壽龍)이 기장으로 내려와 김도엽(金度燁) 등에게 독립 선언서를 전달하면서 거사가 계획되기 시작하였다.

[경과]
기장면 3·1 운동은 김수룡이 기장 지역 청년들인 김도엽, 권철암(權鐵巖), 구수암(具壽巖), 최기복(催基福), 이택규(李澤奎), 박공표(朴孔杓), 오기원(吳基元) 등에게 독립 선언서를 전하면서 계획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4월 5일 기장[읍내] 장날 오전 11시로 거사 일정을 정하고, 기장면사무소에 근무하는 최창용(崔昌鎔)을 통해 면사무소의 등사판과 등사 원지를 빌려 옛 기장 장관청 등에서 독립 선언서를 등사하였다.

4월 5일 김도엽은 ‘양심발원(良心發源) 인도적 자유 민족’이라고 쓴 큰 기와 ‘조선 독립 만세, 조선독립단’이라고 대서특필한 큰 기를 들고, 기장 시장에 이르러 선언서를 반포하고 시장에 운집한 수백 명의 군중과 함께 “조선 만세”를 외치며 주위를 돌면서 만세 시위를 하였다. 놀란 일본 경찰은 공포를 쏘면서 위협했으나 시위는 오후 5시까지 계속되었다. 결국 기장 주재 경찰로는 진압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동래경찰서에 연락하여, 일본 군대와 경찰 원조 부대의 지원을 받아 비로소 시위대를 진압할 수 있었다.

하지만 4월 8일과 10일에 시위는 다시 발생하였다. 8일에는 오후 10시 노동자와 부인들이 주도하는 수백 명이 만세 시위를 전개했고, 이틀 뒤 기장 장날인 10일에는 오전 9시 기장공립보통학교 교정에서 검거를 피한 주도자들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50여 명이 교문을 나가 기장면을 누비며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는 점점 불어나 밤 9시 경에는 1,000명에 이르렀는데, 이들은 시장으로 집결하여 다음날 새벽까지 만세를 소리 높여 외쳤다.

[결과]
시위는 일본 군경의 무차별한 탄압과 발포로 무력 진압되었다. 김도엽, 권철암, 구수암, 최기복, 이택규, 박공표, 오기원, 장봉기, 최학림, 최창용, 권종태[권종철] 등 주도자들은 검거되어 최고 2년 6월에서 최하 8월의 징역형을 선고 받았고 부산감옥소, 대구감옥소, 서대문감옥소 등에 투옥되었다.

[의의와 평가]
기장면 3·1 운동은 일본의 폭력적인 탄압에도 3차례에 걸쳐 진행되었고, 이후 좌천 장터와 일광면에서 일어난 3·1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기장면 3·1 운동에서 보여준 기장 지역민의 저항 의식은 1920년대 기장 지역의 청년 운동, 여성 운동, 농민 운동 등 사회 운동 등 항일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1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