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봉 봉수대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1515
한자 鷹峯烽燧臺
영어의미역 Beacon Fire Station in Eungb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31-2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한정훈

    [상세정보]

    성격 봉수대
    훼손 시기/일시 1896년연표보기 - 폐지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6년 10월연표보기 - 복원
    개축|증축 시기/일시 2010년 1월 1일연표보기 - 보수
    현 소재지 두송산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31-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두송산에 있는 조선 시대의 봉수대.

[개설]
봉수대의 종류는 경봉수, 연변 봉수, 내지 봉수 등 세 가지가 있는데, 경봉수는 서울의 목멱산[남산]에 설치된 것으로 전국의 모든 봉수가 직결되는 중앙 봉수를 말하는 것이며 다섯 개의 화덕이 있었다. 연변 봉수는 국경선이나 바닷가 근처 높은 산봉우리에 설치한 봉수를 말한다. 내지 봉수는 경봉수와 연변 봉수를 연결하는 중간 봉수로, 직선 봉수[직봉]와 간선 봉수[간봉]가 있었다고 한다. 조선 시대 봉수 전달 경로 5개 중 응봉 봉수대는 제2경로의 시발 지점으로, 다대포~양산~경주~영천~안동~단양~충주~광주~서울 남산으로 전달되었다.

봉수대는 하급 장교인 오장(伍長)과 봉수군인 봉졸이 배치되어 있었다. 오장은 봉수군과 같이 생활하면서 봉수대의 이상 유무 등을 확인하여 수령이나 진장(鎭將)에게 보고하였다. 응봉 봉수대는 도별장 1명과 그 아래에 별장 6명, 감고 1명, 봉군 100명을 두었고 다대진(多大鎭)의 관할 아래에 있었다. 연대(烟臺)의 서쪽 입구 아래에 약간의 평지가 조성되어 있고, 주변에서 기와가 수습된 것으로 보아 봉수군이 기거하였던 가옥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건립 경위]
1481년(성종 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황령산·계명산·간비오산·오해야항 등 4곳의 봉수대만 기록되어 있으나, 1530년(중종 25)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는 응봉 봉수대의 기록이 최초로 확인되어 그 사이에 응봉 봉수가 신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응봉 봉수대는 임진왜란 시기를 포함하여 줄곧 이용되었으며, 갑신정변 이후 1896년(고종 35)까지 사용되었다.

[위치]
응봉 봉수대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31-2번지 다대포진성(多大浦鎭城)이 있는 다대포 동북쪽 두송산[아미산]의 해발 178.5m 지점에 위치한다. 다대중학교 옆으로 가파른 고개를 넘어 두송산의 임로(林路)를 따라가다 산불감시소 옆에서 오른쪽 능선을 20분가량 오르면 봉수대가 있다. 응봉 봉수의 위치에 대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3에는 “동쪽으로 오해야항에 응하고, 서쪽으로 김해의 성화례산과 응한다.”라고 적혀 있으며, 『동래부지(東萊府志)』에는 “응봉은 동래부 남 50리에 있으며 다대진 북쪽 두송산이다.”라고 적혀 있다.

[현황]
1976년 10월 복원 공사를 하여 벽돌 모양의 화강석으로 지름 20m의 석축을 쌓아 봉수대를 만들었고, 중앙에는 지름 1.5m, 깊이 0.4m의 연조(煙竈)가 복원되어 있다. 2010년 1월 1일에는 사하구청이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봉수대 모형을 석축 위에 설치하였다. 복원된 응봉 봉수대는 기단, 화구, 봉수 5개[직경 3.4~2.8m, 높이 3.5m]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위치로 보아 군사적 전략 요충지로서의 성격을 잘 알려 주는 관방 시설이라 평가할 수 있다. 다대포와 서평포진을 내려다보며 낙동강 하구 일대와 몰운대 앞바다를 한눈에 감시할 수 있으며, 왜선(倭船)의 동향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해망(海望)의 요지이다. 인근의 가덕도 연대산 봉수대생곡동 성화례산 봉수대구봉 봉수대와 교신하며 국토 최첨단에 위치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쾌청한 날이면 거제도 연안과 대마도까지 보이는 연변 봉수대이다.

10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