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출

대표시청각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1740
한자 金石出
영어음역 Gim Seokchul
분야 생활·민속/민속,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선수촌로 95[반여1동 1199-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심상교

    [상세정보]

    성격 예능 보유자
    성별
    본관 김해
    대표경력 중요 무형 문화재 제82호 동해안 별신굿 예능 보유자
    출생 시기/일시 1922년 2월 28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79년 6월 - 부산 민속 경연 대회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81년 5월 - 국풍81일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85년 2월연표보기 - 중요 무형 문화재 제82호 동해안 별신굿 예능 보유자 지정
    활동 시기/일시 1986년 6월 - 서울 놀이 마당 인간 문화재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86년 8월 - 서울 아시아 경기 대회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88년 8월 - 서울 올림픽 경기 대회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89년 8월 - 일본 시츠오카대학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1년 9월 - 제11회 대한민국 국악제 ‘김석출과 동해 무속 음악’ KBS 출연
    활동 시기/일시 1993년 5월 - 제24회 중요 무형 문화재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3년 10월 - 93 대전 엑스포 ‘한국인의 본모습’ 동해안별신굿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4년 6월 - 제25회 중요 무형 문화재 발표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4년 7월 - ‘94 일요 명인 명창전’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4년 8월 - 좌수영어방놀이 축하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5년 9월 - 일본 도쿄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5년 10월 - 세종 문화 회관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6년 10월 - 제1회 무속 명인전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97년 5월 - 제17회 대한민국 국악제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7년 5월 - 제3회 정신대 해원 상생 대동굿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7년 5월 - 제28회 중요 무형 문화재 발표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7년 7월 - 일본 오사카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7년 10월 - 제2회 광주 비엔날레 기념 한국 무속 예술 축제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7년 11월 - ‘명인 명창 명무의 만남’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8년 12월 - 제2회 한국 무속 예술 축제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8년 8월 - 일본 오사카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9년 4월 - 제3회 기장 대변 멸치 축제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9년 7월 - ‘한국의 굿 한국의 무당’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9년 7월 - 좌수영어방놀이 축하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0년 9월 -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초청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1년 3월 - 제2회 설위설경 큰잔치 축하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1년 5월 - 인천 바다 축제 축하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2년 8월 - 월드컵 축하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3년 10월 - 䳀ࠂ_
    활동 시기/일시 2003년 11월 - ‘예인의 향기’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4년 1월 - ‘유랑의 심청’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4년 10월 - 전주 세계 소리 축제 초청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5년 5월 - VIP 초청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5년 6월 - 광복 60주년 일제 강점 희생자 위령 대전
    몰년 시기/일시 2005년 7월 25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5년 10월 1일~10월 2일 - 일광해수욕장에서 추모 오구굿 공연
    출생지 경상북도 포항시 환호동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1199-11
    학교|수학지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활동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동해안 별신굿」 예능 보유자.

[개설]
본관은 김해. 김석출(金石出)[1922~2005]은 1922년 2월 29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환호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성수, 어머니는 이선옥이다. 할아버지는 김천득이고, 할머니는 이옥분, 큰아버지는 김범수, 맏형은 김호출 등이며 가계 내 많은 식구들이 무당이었고, 이들을 통하여 무업을 학습하였다. 16세에 무업과 무관한 김옥순과 부부의 연을 맺었으나 사별하였고, 18세인 1940년에 무녀인 변난호와 결혼하여 딸 넷을 낳았는데 그중에서 김영희·김동연·김동언은 현재 김석출의 뒤를 이어 영남 동해안 바닷가 마을을 근거로 하여 「동해안 별신굿」을 펼치고 있다. 변난호와 헤어진 후, 1955년에 무녀인 김유선(金有善)과 재혼하였다.

[활동 사항]
김석출은 보통학교를 다니지 않은 채 한글을 깨쳤고 서당을 여러 해 다녔다. 여섯 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7세부터 본격적으로 굿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김석출의 무업은 조부·백부·부모 등으로부터 면면히 이어져 온 것을 학습하였지만 실질적 스승은 13살 터울의 형인 김호출이었다. 김석출은 기억력 뛰어나고 굿을 배우려는 열정까지 강해 어린 시절부터 굿의 내공을 높여 갔다. 김석출의 표현에 따르면 스스로를 벼랑에서 밀어뜨려 즐거이 벼랑을 다시 오르는 기분으로 무당의 예능을 배웠다고 한다. 자신에게서 재능을 읽어 간 스승이 느끼는 감탄을 보며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스승들의 매는 피가 나도 아프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기억들은 김석출 생의 자랑이었다.

「동해안 별신굿」은 내당굿과 외당굿으로 나뉜다. 내당굿은 굿당을 정화하고 이어 각위의 신들을 좌정시키고 조상과 집안의 여러 신들을 바래며 자신과 자손의 번창과 풍요, 안녕을 기원하는 것이다. 외당굿은 굿이 진행되는 마을 전체의 번창과 풍요를 기원하며 연극적 성격이 강하다. 김석출은 이러한 「동해안 별신굿」 무가 전 영역을 암송하여 다음 세대로 이어갈 수 있게 하였다.

굿 연출력 또한 남달라 「동해안 별신굿」이 좀 더 마을 주민들에게 즐거움을 주도록 구성을 변화시켰다. 특히 굿의 마지막 부분인 거리굿은 다양한 인물과 사건을 버무려 인간 삶의 다양성을 담아낸 스토리로 구성하였다. 여기에 맛깔나는 욕설과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장식적으로 추가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김석출의 뛰어난 연기력과 연출력, 스토리 구성력이 빛을 발한 부분이었다.

김석출은 목청도 뛰어나 구음이 일품이었다. 판소리를 배우라는 권유를 받을 정도였다. 이러한 구음은 굿을 흥겹게 하는 굿의 박차였고 거리굿을 긴밀하게 구성하는 견인차였다. 또한 굿당에 진설되는 지화(紙花)를 만드는 기술도 탁월하였다. 「동해안 별신굿」을 연행할 때 신이 아름다운 곳에 풍성하게 좌정하도록 지화를 올리는데, 이는 수백 번의 손이 가야 만들어지는 섬세한 작업이다. 특히 죽은 사람을 살려낸다는 살잽이꽃[불동화]은 「동해안 별신굿」 지화의 절정인데 김석출은 이를 제작하는 데 특히 뛰어난 솜씨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살풀이춤과 타악 연주, 태평소 연주 실력 또한 뛰어났다. 「동해안 별신굿」의 푸너리·청보·배자보기 등의 여러 장단은 고난도라 대학의 국악과 학생들이 배우고자 문하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다. 김석출은 매년 「동해안 별신굿」을 부산에서부터 강원도 고성의 바닷가 여러 마을에서 연행하였고, 강릉 단오제에서도 매년 연행하였다. 김석출이 부산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1947년부터였다. 1985년 2월 중요 무형 문화재 예능 보유자로 지정받았으며 이후, 서울 문화재 전수 회관 및 일본의 여러 지역과 대학에서 초청 공연을 하였고, 국립국악원과 한국방송공사의 국악 프로그램에도 다수 출연하였다.

김석출은 2005년 7월 25일에 세상을 떠났다. 김석출을 위한 오구굿이 동해안별신굿보존회가 주관하고 문화재청·문화재보호재단의 후원으로 10월 1일부터 2일까지 부산 기장 인근의 일광 해수욕장 해변에서 열렸다.

[저술 및 작품]
대표 작품으로 「김석출 높새바람」[나이세스, 1993]·「(무악)동해 무속 사물」[나이세스, 1993]·「동해안 별신굿」[서울음반, 1993]·「무익조(無翼鳥)」[나이세스, 1993]·「신명(神命)」[서울음반, 1993]·「유라시안 에코즈(Eurasian Echoes)」[나이세스, 1993]·「살풀이」[서울음반, 1994]·「Kwang-Soo Lee and Sun」[삼성뮤직, 1997]·「김석출결정판」[삼성뮤직, 1997]·「(94 일요 명인 명창전)동해안 무속 음악」[서울음반, 1997]·「(한국 음악 선집 24)동해안 오귀굿 동해안 별신굿」 한국의 굿3[국립국악원, 1999]·「김용배 설장고 가락 모음」[신나라뮤직, 2001]·「(한국 고음반 연구회 음향 자료 선집 12) 김석출과 동해안의 굿 음악」·「한국 음반학」15 부록[2005] 등이 있다.

1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