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주머니호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2869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壺
영어의미역 Purse-shaped Jar,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이칭/별칭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소호(小壺),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와질 소옹(瓦質小甕)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집필자 서영남

    [상세정보]

    성격 와질 토기
    재질 도토
    크기 12.8㎝[높이]|13.0㎝[구경]|3.5㎝[바닥 직경]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삼한 시대의 소형 주머니호.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주머니호[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주머니壺]는 무른 와질 소성 토기로서 전체적으로 흑색을 띤다. 토기 표면 일부가 박리되어 회황색을 띠고, 토기 안쪽은 대부분 흑색이지만 일부는 회황색이다. 소성도는 보통이며 태토(胎土)는 석영과 장석이 소량 혼입된 고운 니질 점토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물 손질로, 몸통 상단은 회전 물 손질로 표면을 정리하였다.

바닥은 아주 좁아서 직경 3.5㎝정도이며, 바닥에서 몸통으로 매우 부드럽게 연결되어 말각평저(抹角平底)[대야바닥이라고도 하며, 몸통과 각이 지지 않은 넓적한 그릇 바닥을 뜻함]의 형태로 볼 수 있다. 몸통 상반부가 약하게 부풀어 오른 형태이며, 아가리는 끝 부분이 약간 둥글게 마무리되어 있다. 몸통의 하부가 가장 크게 부풀어 있는 형태로, 주머니호 변화 발전 과정을 5단계로 나눌 때 중간 단계에 해당된다. 높이는 12.8㎝이고, 입 지름은 13.0㎝이다.

[특징]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주머니호는 와질 토기 편년 연구에 있어 굽다리 목 긴 항아리[대부 장경호]와 함께 표지적 유물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목이 없으나 호로 이름 붙여진 이유는 이 토기가 발견된 초창기에는 목이 있는 장경호에서 변화·발전하였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많은 발굴로 자료가 축척되고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이 토기는 무문 토기 점토대 토기 옹 중에서 몸통 아랫부분이 불룩한 형태의 것에서 발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주머니호는 와질 토기 발생기에 등장하는 토기로 와질 토기는 외래문화의 영향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지만 그 기저에는 점토대 토기 문화가 바탕이 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주머니호는 부산에서도 여러 유적에서 출토되었는데, 방곡리·노포동·구서동·복천동 등지가 알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와질 토기는 환원염으로 900°C 정도에서 소성되어 회색을 띠며 기와와 같이 무른 토기라고 해서붙여진 이름으로 삼한 시대 후기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토기이다. 와질 토기의 주요 기종으로는 주머니호[소형옹], 조합 우각형 파수부호(組合牛角形把手附壺), 대부 장경호, 시루 등 다양하다. 그 중에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주머니호는 와질 토기 편년에 표지적 유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와질 토기가 새로운 기술의 영향으로 무문 토기에서 변화 발전한 토기 문화라는 것을 말하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0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