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피난민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3754
한자 六-二五戰爭避難民
영어의미역 Refugees of the Korean War
이칭/별칭 전재민
분야 역사/근현대,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만일
[정의]
6·25 전쟁 기간 동안 전쟁을 피하기 위해 강제적, 혹은 자발적으로 부산으로 이동한 사람들.

[개설]
6·25 전쟁 기간 남북한 주민들은 크게 2차례의 피난을 경험 하였다. 우선 전쟁이 발발하면서 인민군이 남쪽으로 진격함에 따라 38선 인근 주민과 서울·경기 지역의 민간인들이 대규모로 대구, 부산 등을 향해 이동하였다. 이후 1950년 10월 25일 중공군의 참전으로 UN 연합군이 수세에 몰리면서 북한의 민간인들이 다수 월남하였고, 또 1·4 후퇴 시기 서울과 이남 지역의 주민들이 대규모로 피난하게 되었다. 전쟁 발발과 함께 시작된 피난을 ‘1차 피난’이라 하고, 중국군 참전으로 인해 이북과 서울·경기·충청 지역 주민의 대규모 피난을 ‘2차 피난’이라 한다.

피난민의 수는 1차 피난 당시 약 150만 명, 2차 피난기에 약 480만 명에 이르렀다. 1차 피난민은 주로 남한 사람들로 1950년 9월 28일 UN 연합군의 서울 수복으로 인한 정부의 귀환 정책에 의해 대부분 고향으로 귀환한 반면, 2차 피난민은 남한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38선 이북 지역의 주민까지 피난하였고, 피난민 대부분이 피난 지역에 정착하였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1차 피난]
1차 피난 당시 육군 민사처의 관리 아래 약 150만 명의 피난민 중 약 50만 명이 경상남도 지역으로 피난한 것으로 보인다. 그 중 약 20만 명이 정부의 피난민 분산 정책에 의해 부산 외곽 수용소에 분산 수용되었고, 30만 명의 인원이 부산으로 유입되었다. 따라서 전쟁 전 부산의 인구는 약 47만 명이었으나, 1차 피난기에 약 77만 명에 이르렀다. 이 시기 정부는 부산의 갑작스러운 인구 증가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산으로의 피난민 유입을 가급적 막으려 하였다.

전쟁의 상황이 호전된 9월 정부는 갑자기 늘어난 인구로 혼란을 겪고 있는 부산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부산으로 유입된 피난민을 귀향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정부는 11월 말일까지 피난민 전원을 각자 고향으로 돌려보내기로 결정, 계엄사령부의 수송 편의를 얻어 특별 귀환 차량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부의 방침에도 불구하고 피난민 중 부모 형제와 가산을 모두 잃은 사람들은 부산에서 적당한 생계책을 구하기를 희망하였고, 약 15만 명이 부산에 잔류하였다. 이 당시 정착한 피난민을 합한 부산의 인구는 약 62만 명이었다.

[2차 피난]
중공군 참전으로 야기된 2차 피난기에는 약 56만 명의 피난민이 경상남도로 들어왔다. 그 중 약 26만 명이 UN 연합군과 유엔민사원조사령부[UNCACK]의 도움을 받아 부산으로 이주하였고, 나머지 약 30만 명의 피난민은 정부의 피난민 분산 정책에 따라 부산을 거쳐 경상남도의 다른 지역에 수용되었다. 따라서 이상을 종합해 보면, 1952년 2월 29일 현재 부산의 인구는 1차 피난민 증가분 약 15만 명, 2차 피난 당시 유입된 인구 약 26만 명 등 피난민 약 41만 명을 포함하여 총 88만 명이었다.

[영향]
피난민 때문에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자 주택난, 식량난, 전력난, 식수난 등으로 부산은 말 그대로 혼돈 그 자체였다. 특히 식량의 부족은 심각한 상황이어서 외부로부터 식량을 조달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실정이었고,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도 심각하였다. 예를 들어, 1950년 10월을 기준으로 전쟁 전에 비해 백미 500%를 비롯하여, 무 350%, 계란 316%, 감자 300% 등으로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위와 같은 전시기 부산의 모든 사회 문제의 근원은 피난민 등으로 인해 늘어난 인구로, 1차 피난기에 정부는 피난민을 수용소 시설에 수용함으로써 부산의 혼란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수용 시설에 거주하는 피난민에게 최우선적으로 식량과 의약품을 공급하는 등의 유인책이 동원되었다. 또 전염병 확산에 대처하기 위해 의약품의 확보 및 예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피난민의 주거지 확보를 위해 귀속 재산을 중심으로 피난민을 수용하였으나, 감당이 되지 않아 여관, 요정, 극장 등을 임시 수용소로 선정하여 수용하였다.

2차 피난기에 정부는 현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의 적기, 영도구봉래동청학동, 그리고 대연 고개, 남부민동, 당리 등에 약 7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40여 개의 수용소를 마련하였고, 유엔민사원조사령부로부터 다수의 구호물자를 공급받았다. 그러나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산의 모든 피난민을 구호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주택의 경우도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모자라, 집값의 폭등은 필연적이었다.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과도한 집세를 요구하는 자를 처벌한다는 방침을 내렸지만, 집 주인은 기존의 가격을 고수할 뿐이었다. 따라서 많은 피난민들은 부산시청 앞과 초량 일대에 노숙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내몰렸다.

이에 부산 지역의 피난민들은 정부의 피난민 구호책에 기대기보다는 스스로 살길을 마련해야 했다. 많은 사람들은 그들이 소중히 가지고 내려왔던 옷가지며 패물, 집기 등을 생존을 위해 방매하여, 소위 ‘도떼기시장’이 성황을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돈을 벌기 위해 부두 등지에서 험한 중노동에 투신하였으며, 국제 시장자갈치 시장 등에서 지게꾼과 노점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렇게도 못하는 사람들, 특히 남편을 제2국민병으로 전쟁터에 보냈거나, 혹은 피난길에 헤어진 부녀자들은 인육을 파는 경우도 있다는 소문이 나돌 정도로, 생존을 위해 부정한 일도 마다하지 않았다. 남편이 있는 경우라도 이들 피난 부녀자들 가운데에는 부득이한 생활고로 남편과 자녀들을 두고 현지 부유층의 첩으로 또는 양부인 등으로 전락하는 경향이 점증하고 있었다.

10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