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자주 관리 운동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5152
한자 工場自主管理運動
영어의미역 Autonomous Plant Management Movement
분야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하유식

    [상세정보]

    성격 노동 운동
    관련인물/단체 정호종|김경옥|이수동|김택배|하원준|박상길|김석문|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경남상공경제협력회 준비위원회
    발생|시작 시기/일시 1945년 8월 15일연표보기 - 해방 직후부터 각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자주적으로 공장 관리 운동 전개
    종결 시기/일시 1946년 상반기연표보기 - 미군정의 관리위원회 해체 시도와 통제경제 실시로 운동 약화·소멸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5년 12월 6일 - 군정 법령 33호 발표, 관리인 제도 실시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5년 12월 말 - 미군정 미곡 수집 추진
    전개 장소 조선방직주식회사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전개 장소 조선기선회사 - 부산 대교통(大橋通)
[정의]
해방 후 부산의 노동자들이 귀속 사업체에 ‘관리 위원회’를 조직하여 전개한 자주적 공장 관리 운동.

[역사적 배경]
해방이 되자 대부분의 조선인들은 일제가 남긴 유산을 마땅히 조선 사람이 접수하고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일본인이 남긴 재산은 그들이 조선 사람들을 착취하여 형성한 것이기 때문이었다. 일본인 자본가들은 축적해 놓은 자금을 빼내는 것은 물론이고, 멋대로 공장 시설과 재고를 매각 처분하여 공장 자체를 파괴하였다. 심지어 사업체 시설을 일본으로 후송하는 경우도 있었다.

부산의 조선방직 전무 시강승평(時岡昇平)은 광목을, 삼화고무 사장 미창청삼랑(米倉淸三郞)은 고무신을 대량 방매하였다. 금천용(今泉勇)은 금천알미늄 공업소에서 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장 기계를 파괴하여 다량의 알루미늄 솥을 제조하여 중간 상인에게 방매하였다. 이 결과 귀속 사업체들은 심각한 자금난·원료난을 겪었다.

[경과]
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는 부정 매매 방지와 부정 물품 반출 방지, 몰수 시행, 감시원 배치 등에 역점을 두고 활동하였다. 부산의 상공인들도 1945년 8월 29일 경남상공경제협력회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와 공동으로 방매 저지 활동을 전개하였다.

부산 지역 노동자들은 ‘관리위원회’, ‘자치위원회’, ‘운영위원회’, ‘접수위원회’, ‘회사운영회’ 등을 조직하여 사업체를 자발적으로 접수·관리하였다. 관리위원회는 노동자들이 주축이 되어 구성된 곳도 있었지만, 대부분 노동자의 지지를 받는 하급 간부들이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공장 자주 관리 운동이 빠르게 퍼질 수 있었던 배경은 첫째, 해방 후 노동운동가들이 감옥에서 풀려 나오면서 노동 운동에 더욱 힘이 붙었기 때문이다. 둘째, 조선건국준비위원회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조선공산당, 부산 지역 상공인 조직 등의 정치 사회 단체들이 공장 자주 관리 운동을 지지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노동자들이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실업으로 생활 터전이 무너져 내리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나섰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부산 지역에서 자주적 공장 관리 운동이 전개된 대표적인 기업체는 조선방직주식회사, 부산 조선중공업회사, 동광고무주식회사, 조선운수주식회사, 조선기선회사 등이었다. 조선방직주식회사 종업원들은 전 방직과장 정호종(鄭浩宗)을 위원장으로 한 조방관리위를 조직하였다. 관리위원회는 주요 물자 도난 방지와 건물의 경비 운영 방침 준비, 일본인 행동 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후 조방에서는 하원준(河元俊)을 경영주로 맞아 생산성 향상에 박차를 가하였다.

부산 조선중공업회사에서는 해방 직후 전 수상서 치안관 박상길(朴相吉)을 중심으로 한 ‘중공업 대책위원회’가 조직되었다. 그들은 사내 일부 간부와 결탁하여 운영하면서 일인에게서 획득한 종업원의 생활비를 횡령하였다. 이에 노동자 300여 명은 노조분회를 결성하고 자주적으로 공장 조업을 준비하였다. 노조분회는 ‘중공업 대책위원회’의 부정 사실을 적발하고 그 중 3명을 축출하였으며, 당시 최고의 임금을 획득하였다.

동광고무주식회사의 노동자들은 김경옥(金敬玉)을 위원장으로 하는 관리위원회를 조직하여 운영하였다. 공장 경영에 어려움이 발생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하원준을 새로운 경영주로 맞아들였다. 그러나 하원준은 ‘공장경비대’로 지칭되는 장정 수명을 입사시켜 노동자들을 위협하였다.

조선운수주식회사의 조선인 종업원 500여 명은 해방 후 관리위원회와 노조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우리 손으로 우리 부두의 수송 하역을 확보하자’는 슬로건 아래 활동하였다. 조선기선회사에서는 해방 후 약 200여 명의 종업원들은 이수동(李秀東)을 위원장, 김택배(金宅培)를 부위원장으로 하여 ‘회사운영회’를 조직하였다. 종업원들은 자금이 부족하여 회사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조선상선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던 김석문(金錫汶)을 사장으로 맞아 들였다. 이후 조선기선회사의 종업원들은 김석문 사장이 운영 자금을 출자하지 않고, 임금도 체불하며 탄압을 가하자 이에 맞서 투쟁하였다.

[결과]
부산의 공장 자주 관리 운동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자금 문제였다. 노동자들은 자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금력을 갖춘 경영주를 맞아들였다. 그런데 이들 경영주들은 공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보다는 관리권을 장악하는 데 주력하였다. 이들은 관리권 장악을 위해 노조 간부나 노동자들에게 우호적인 관리 위원들을 해고시켰다.

미군정은 처음에는 귀속 사업체에 대한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기존 관리위원회의 운영권을 승인하였다. 그러다가 1945년 12월 6일 군정 법령 33호를 발표하여 모든 일본인 재산 처분을 동결하고 접수 관리를 시작하였다. 미군정은 모든 공장 사업장의 영업 상태를 1945년 12월 말까지 시청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이 보고를 토대로 새로운 관리인을 파견하려 하였다. 1946년 4월 말 현재 투자액 5만 원 이상의 경상남도 내 450공장 가운데 382공장에 관리인을 파견하였다. 한편, 미군정은 기존의 관리위원장을 그대로 임명하면서 위원회를 해체시키기도 하였다.

노동자들은 새로운 경영주들의 공장 관리권 장악과 노동자 해고에 맞섰다. 또한 미군정의 관리위원회 해체와 사업체 관리·장악 시도에 대해서도 거세게 대응하였다. 노동자들은 관리인과 모리배들의 침투를 용인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 공장을 지켜야 한다는 의식의 성장으로 노동조합을 재조직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노동자들의 공장 자주 관리 운동은 1946년 상반기까지 지속되었으나 그 힘은 점차 약화되어 갔다.

[의의와 평가]
부산의 공장 자주 관리 운동은 일본 제국주의를 이 땅에서 완전히 청산하려는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자본가의 독점적 경영권과 소유권을 부정하는 데까지 나아가 반자본주의적 성격을 가지기도 하였다. 또한 과거 수탈당한 계층이 사업체 운영의 주도권을 장악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공장 폐쇄와 강제 퇴직으로 생계의 위협을 느꼈던 종업원들이 스스로 공장을 운영함으로써, 자주적인 국민 경제를 건설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노동조합이 튼튼한 밑받침이 되어 관리위원회가 구성되지 못함으로써, 뚜렷한 이념과 목적을 가지고 시작되지 못하였다. 또한 생산 시설을 보호한다는 자위적인 수단으로서 자연 발생적으로 일어나 공장 시설을 지키는 수준에 머문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공장 자주 관리 운동은 자본과 유통 문제에 부딪히거나 자본력을 가진 경영주가 전횡을 휘두를 때에는 좌절을 겪기도 하였다.

2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