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소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5390
한자 壇所
영어의미역 Site of an Altar
이칭/별칭 제단,단묘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강식
[정의]
부산 지역에서 특정한 제사를 모시기 위해 설치한 조선 시대의 단(壇).

[개설]
조선 시대에는 성리학적 질서가 중시되면서 국가 제례도 정비하고, 성리학적 가치를 기려 나갔다. 국가는 기존의 음사(陰祀) 대신에 성리학적 제례를 시행하였다. 부산에서도 조선 전기에 동래와 기장에 사직단(社稷壇), 문묘(文廟), 여단(厲壇), 성황사(城隍祠), 절영도 신사(絶影島神祠), 모등변 신사(毛等邊神祠), 고지도 신사(古智島神祠)를 비롯한 산천단이 설치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농주산 전망 제단(弄珠山 戰亡 祭壇), 송공단(宋公壇), 정공단(鄭公壇), 윤공단(尹公壇), 의용단(義勇壇), 신무단(神武壇), 만공단(萬公壇) 등 많은 사묘와 제단이 세워졌다.

[내용]
조선 시대에 부산 지역에서도 성리학에 입각한 제례가 확립되어 나가자, 각종의 단소도 정비되었다. 이런 제단은 국가 차원의 제사를 지내는 곳이었기 때문에 대부분 잘 남아 있다. 특히 임진왜란 이후에 순절한 사람들을 위한 제단이 많이 건립되었다. 이것은 조선 후기에 성리학 질서의 수립과 시행의 강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사직단은 토지신과 곡식신을 모시기 위해 제단을 만들어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1709년(숙종 35)에 동래 부사 권이진(權以鎭)이 부의 서쪽 5리에 세웠는데, 현재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이다. 여단(厲壇)은 후손이 없어 제를 모시지 않은 여귀(厲鬼)를 모시는 곳으로 동래부의 동쪽 2리에 있었다.

농주산 전망 제단은 동래읍성의 남문 밖에 있었던 조그마한 구릉인 농주산의 위에 세 방향으로 각각 설치한 단이다. 임진왜란 때 순절한 동래 부사 송상현(宋象賢) 등을 비롯한 관군뿐만 아니라 같이 순절한 여러 사람과 이름을 알 수 없는 전망 의사들을 모시기 위해 세운 제단이다. 1742년(영조 18)에 송공단이 세워지자 그 곳으로 옮겼다.

의용단은 임진왜란 좌수영성에서 생존하면서 적과 싸우다가 순절한 좌수영 소속의 수군 25명을 모시기 위해 쌓은 단이다. 1853년(철종 4)에는 좌수사 장인식(張寅植)이 수영 공원의 서북쪽 기슭에 의용제인비(義勇諸人碑)를 세우고 단을 쌓았다. 송공단은 1742년(영조 18)에 동래 부사 김석일(金錫一)이 임진왜란 때 동래 부사 송상현이 순절한 정원루의 옛 터에 설치한 단으로 송상현을 비롯하여 순절한 여러 사람을 모신 곳이다.

정공단은 1766년(영조 42)에 부산 첨사 이광국(李光國)이 임진왜란 때 부산 첨사 정발(鄭撥)이 순절한 옛 부산진성의 터에 설치한 단으로서 정발과 그를 따라 함께 사절한 여러 사람을 모신 곳이다. 윤공단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다대 첨사 윤흥신(尹興信)과 그와 함께 죽은 사람들을 모시기 위해 그가 순절한 다대진 성내에 세운 단으로 현재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다. 1765년(영조 41)에 다대 첨사 이해문(李海文)이 쌓았다.

신무단은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우러 왔던 명나라 장수 만세덕(萬世德) 등을 위해 세운 단이다. 1750년(영조 26)에 동래 부사 황경원(黃景源)이 동래읍성 안에 있는 객사 뒤의 적휘정 옛 터에 단을 쌓아 만세덕과 명나라 장수들을 기렸다. 만공단은 1766년(영조 42)에 동래 부사 강필리(姜必履)가 만세덕이 우리나라에 끼친 은공에 보답하고 일본에 대한 복수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그의 기공비(紀功碑)가 있는 자성[즉 지금의 자성대] 위에 쌓았다.

기장 지역에도 별도의 사직단과 여단(厲壇)이 있었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사리에 있는 귀산단(龜山壇)은 임진왜란 때 싸우다 죽은 동래 24별전공신에 속하는 오씨 문중의 인사를 위해 1938년에 세웠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 있는 다산단(茶山壇)은 임진왜란 때의 공신 신오(辛澳)와 그의 아들 세 분을 모신 사당이다.

2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