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5485
한자 東萊邑城壬辰倭亂歷史館
영어의미역 Dongnaeeupseong Imjinwaeran Museum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206-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정형

    [상세정보]

    성격 역사관
    면적 1,029㎡
    전화 051-610-7142
    건립 시기/일시 2011년연표보기 - 건립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1년 1월 28일연표보기 - 개관식 개최
    최초 설립지 부산 도시 철도4호선 수안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206-3
    현 소재지 부산 도시 철도4호선 수안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206-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의 수안역 안에 건립된 임진왜란 당시의 동래읍성 전시관.

[개설]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은 현재까지 확인된 임진왜란 전쟁터 중에서 여러 종류의 가장 많은 유물들이 출토된 역사의 현장에 세워진 역사관이다.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은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임진왜란 당시 동래읍성 전투의 생생한 모습은 물론, 목숨을 걸고 적에 맞선 선조들의 불굴(不屈)의 항쟁 정신과 모습을 잘 보여주는 교육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최초로 철도 역사(驛舍) 안에 만들어진 역사 전시관이다.

[건립 경위]
부산 도시 철도 4호선 수안역 공사 중에 발견된 동래읍성 해자와 그 안에서 출토된 임진왜란 동래읍성 전투에서 희생된 많은 사람들의 뼈, 다양한 무기, 생활용품 등을 복원·전시함으로써 임진왜란의 참혹한 모습과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고 적에 맞선 선조들의 항쟁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

2005년 4월 부산교통공단[현 부산교통공사]의 부산 지하철 3-2호선[현 부산 도시 철도 4호선] 수안역 건설 공사 중 동래읍성 해자가 발견된 뒤 2005년 7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해자에서 임진왜란 당시 동래읍성 전투에서 희생된 약 100명 안팎 사람들의 뼈와 다양한 무기 등이 출토되었다. 이에 발굴 지도 위원, 부산광역시 등과 의논하고, 문화재청의 협조를 받아 출토 유물 등의 전시관을 수안역 안에 짓기로 한 뒤 2011년 1월 28일 공사를 끝내고,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을 개관하였다. 이로써 부산 도시 철도 4호선 수안역은 임진왜란 동래읍성 전투의 역사(歷史)가 있는 역사(驛舍)가 되었다.

[활동 사항]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에서는 찾아오는 시민, 관광객들에게 임진왜란의 참상과 목숨을 바쳐 적에 맞선 선조들의 항쟁 모습을 설명하고 알리는 것을 주로 하고 있다. 차후에는 다양한 기획 전시도 계획하고 있다.

[구성]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은 1,029㎡ 규모로 주 전시, 기획 전시, 해자 단면 연출, 전사 그래픽 연출이라는 크게 4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전시 공간에는 동래읍성 축소 모형, 갑옷·큰칼·창·활·화살 등 출토 유물의 복제·복원품, 발굴 현장을 그대로 재현한 동래읍성 해자, 임진왜란 역사와 동래읍성 전투 상황을 그린 「동래부 순절도」와 같은 유물 등 임진왜란 관련 자료 등을 전시하고, 무기 체험실도 갖추고 있다. 해자 단면 연출 공간은 개찰구를 통과하면 바로 앞쪽에서 볼 수 있다. 전사 그래픽 연출 공간은 동래읍성 전투를 해자 발굴 유물과 사료를 통해 재연한 동영상을 보여주는 영상실로 되어 있다. 이밖에 승강장 벽면에는 「임진전란도(壬辰戰亂圖)」, 「동래부 순절도」, 『동래 부사 접왜사도(東萊府使接倭使圖)』가 벽돌로 설치되어 있다.

[현황]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부산교통공사가 건립하여 기본 시설물 관리를 하고 있으며, 유물 전시·설명과 보전 등 운영은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맡고 있다.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은 도시 철도를 이용하는 시민, 관광객에게 임진왜란 당시 동래읍성 전투의 생생한 모습을 체험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쉬는 날인 월요일, 설·추석을 제외한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7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