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13535
한자 大韓民國臨時首都記念-
영어의미역 Street for Commemorating the Provisional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성격 테마 거리
    준공 시기/일시 2010년 8월연표보기 -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0년 8월연표보기 - 개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9월 - 2015년 완공을 목표로 ‘대학 캠퍼스 & 임시 수도 재창조 사업’ 진행
    최초 설립지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 -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현 소재지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 -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에 조성된 테마 거리.

[건립 경위]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임시 수도 기념관과 연계하여 잊혔던 부산광역시 서구의 역사적 가치를 복원하기 위하여 2010년 2월 24일 착공해 같은 해 8월에 완공되었다.

[변천]
2013년 9월부터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의 역사적 의미와 생기 넘치는 대학문화를 접목시켜 새로운 도시 공간을 조성하는 ‘대학 캠퍼스 & 임시 수도 재창조 사업’이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구성]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서구 부민동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입구부터 임시 수도 기념관 사이 거리 500m 구간에 조성되어 있다. 거리가 조성된 도로명은 임시 수도 기념로이다. 입구에는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라는 입간판이 서있고,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에 보관 중인 전차를 복원하여 전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 전 구간의 바닥은 석재 보도블록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수은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다.

길을 따라 걷다 보면 훈민정음과 부조상을 배경으로 공부하는 모습의 조각상, 높이 1m의 장터 풍경과 옛 생활 도구를 새겨 넣어 전쟁 당시의 생활상을 담아 낸 부조상과 쪽자[설탕을 연탄불에 녹여 소다를 넣은 과자로 ‘달고나’라고도 함] 하는 아이 조각상, 당시 생활상을 수묵화처럼 표현한 벽화가 조성되어 있다. 계단을 오르면 계단 중간에 피란민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거리의 끝에 임시 수도 기념관[6·25 전쟁 3년간 부산이 임시 수도의 역할을 하였을 당시 대통령 관저로 쓰였던 곳으로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유품 등 150여 점의 소장품을 갖춘 역사박물관]이 있다.

[현황]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는 국비와 시비 등 23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조성되었다. 거리 조성으로 원도심권의 침체와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질 뻔했던 근·현대의 소중한 흔적들이 의미를 재평가받고 있다. 조성 당시에는 임시 수도 기념관으로 향하는 계단에 피란민을 형상화한 조형물과 함께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조각상도 설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2013년 9월 15일 부산 서구는 ‘사람과 길이 소통하는 명품 거리’를 주제로 부산대학교병원~경남중학교 구간 임시 수도 기념관 일대 1.6㎞ 거리에 ‘대학 캠퍼스 & 임시 수도 재창조 사업’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의 역사적 의미를 살리면서 생기 넘치는 대학 문화를 접목시켜 새로운 도시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이 사업은 국토해양부의 ‘도시 활력 증진 개발 사업’으로 채택되어 2014년 현재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거리에는 커피 콩, 커피 잔과 스푼 모양의 벤치 등 ‘퍼블릭 퍼니처’와 스마트형 버스 셸터를 설치하고 바닥에는 근대사의 흔적을 상징하는 패턴형 보도블록을 시각화하여 공공 미술의 옷을 입힐 계획이다. 또한 거리 화단에는 초화류와 가로수를 심고 그린 패널 등을 이용, 거리 갤러리로 변화시키고자 한다. 사업이 완료되면 청춘 거리 음악회, 인문학 토크쇼 형식의 역사 소통 포럼 등을 개최하여 지역 변화를 유도할 예정이다.

0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