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공립중학교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15915
한자 釜山公立中學校
영어의미역 Busan Public Middle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40번길 23[초량동 806-177]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성격 중등 교육 기관|학교
    설립자 조선총독부
    개교 시기/일시 1913년 4월 1일연표보기 - 관립부산중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1945년 10월 10일연표보기 - 재개교[6년제]
    폐교 시기/일시 1945년연표보기 - 일제의 패망으로 폐교
    이전 시기/일시 1913년 11월 28일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28년 12월 10일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806-177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25년 3월연표보기 - 관립부산중학교에서 부산공립중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1년 9월 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중학교에서 부산고등학교로 개칭[학제 개편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분리]
    최초 설립지 관립부산중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주소 변경 이력 관립부산중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공립중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806-177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었던 공립 일본인 교육 기관.

[변천]
일제 강점기 초기 일본인 여자와 남자 실업 교육에 대한 학교 설립은 이미 안정기에 들었지만, 일본인 남자에게 고등 보통학교 교육을 시행할 중학교는 설치되지 않았다. 때문에 소학교 졸업생 가운데 다수는 멀리 본적지에 혹은 친족 옛 친구에게 의뢰하거나 아니면 조선 유일의 서울에 있는 경성중학교에 지원하는 방도밖에 없었다. 내지인 거주자가 2만 5000명이나 되는 부산에 이러한 교육 기관이 없다는 것은 남선(南鮮)의 대표 도시로서 유감스러운 일이었으므로 이에 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1913년 3월 28일에 조선총독부의 중학교 관제 개정으로 부산에 중학교를 설치하기로 하였으며, 같은 해 4월 1일에 조선총독부 고시 제93호로 보수정[현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에 부산공립심상소학교 교사의 일부를 가교사로 하여 관립부산중학교로 개교하였다. 그해 11월 28일에 동구 초량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18년 3월 10일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1922년 3월에는 총독부령으로 중학교 규정을 정하고 학칙을 개정하였고, 1923년 5월 6일에 1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1925년 3월에는 경상남도로 이관되어 부산공립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때 15학급제로 변경하였다. 1926년 4월에 학교 교련 실시로 육군 현역 장교가 배속되었으며, 1927년 4월에 교기를 제정하였다. 1928년 12월 10일에는 신교사를 준공하여 일부 학급을 이전하였고, 1929년 4월 1일에 15학급제를 완성하였다. 1933년 4월 20일에 개교 2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당시 학교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교장 명단은 광전직삼랑(光田直三郞)[1913~1917, 육군 보병 중위로 석천현립금택제일중학교장(石川縣立金澤第一中學校長) 역임], 평산정(平山正)[1917~1921], 정상장차(井上庄次)[1921~1925, 복강현립소창중학교장(福岡縣立小倉中學校長) 역임], 관본행태랑(關本幸太郞)[1925~1928], 가등상차랑(加藤常次郞)[1929~1932], 청류태웅(靑柳泰雄)[1932년 3월 29일 취임, 경기도 시학관 등 역임]이다.

교직원 가운데 교유(敎諭)는 영목태랑(鈴木太郞)[1913~1914], 차전윤(次田潤)[1913~1916], 목도금삼랑(牧島金三郞)[1914], 암촌준웅(岩村俊雄)[1914~1921], 임진영(林辰英)[1914~1916], 고야육랑(高野六郞)[1914~1916], 대총삼랑(大塚三郞)[1915~1921], 명월나가차랑(名越那珂次郞)[1915~1923], 도축학길(都築鶴吉)[1913~1914], 암교번웅(岩橋繁雄)[1913~1915], 신진미조(新津米造)[1914~1917], 하석정지진(下石政之進)[1914~1918], 통구진녜태랑(樋口津禰太郞)[1914~1915], 전삼장차랑(田森長次郞)[1915~1917], 정구말길(井口末吉)[1915~1919], 고하원태(高賀圓太)[1915~1917], 안강원태랑(安岡源太郞)[1916~1921], 일하부부장(日下部富藏)[1917~1918], 산전죽삼랑(山田竹三郞)[1917~1923], 로기후(露崎厚)[1917~1923], 좌좌목헌호(佐佐木憲護)[1918~1922], 정근선정(長根禪定)[1918~1922], 종내장길(宗內長吉)[1920~1921], 김자소(金子素)[1921~1925], 신전동평(神田東平)[1921~1923], 귤고윤(橘高倫)[1921~1922], 암정용(岩井勇)[1916~1917], 전중휘효(田中輝孝)[1916~1920], 삼권양일(三卷洋一)[1917~1922], 시전승차(柴田勝次)[1917~1921], 소림광정(小林廣正)[1918~1923], 굴내붕(堀內朋)[1918~1919], 뇌목욱태랑(瀨木昱太郞)[1918~1925], 문협정치(門脇政治)[1922~1924], 일야건사랑(日野健四郞)[1922], 구량부(九良夫)[1922~1925], 산하등차랑(山下藤次郞)[1922~1924], 황목금광(荒木金廣)[1923~1925], 강본이평(岡本利平)[1924~1925]이다.

촉탁(囑託)은 궁원수웅(宮原秀雄)[1913~1914], 중천청(中川淸)[특별 촉탁, 1914~1914], 미전촌방언(美田村邦彦)[1915~1916], 소하원의조(小河原義照), 이등실(伊藤實)[1914], 화전영태랑(花田英太郞)[1915], 고교창(高橋昌)[1916], 판하사랑조(坂下四郞助)[1915~1917], 근본용(根本勇)[1920~1921], 진전경작(津田耕作)[1921~1922], 농본애장(瀧本愛藏)[1921], 산본육랑(山本六郞)[1922~1925], 수수부(守秀夫)[1922~1924], 고판현양(高坂玄洋)[1924], 암전무웅(岩田武雄)[1924~1926], 판원구랑(坂原九郞)[1925]이다.

고(雇)는 원전사랑(原田四郞)[1913], 우야염태랑(宇野艶太郞)[1913~1920], 원수(原收)[1915~1916], 전궁이치(田宮利治)[1920], 입화훈(立花薰)[1922~1924], 서전겸일(西田謙逸)[1920~1925], 약정순삼(若井順三)[1916~1917], 고원말광(高原末廣)[1924~1925]이다. 서기(書記)는 소림의박(少林義博)[1913~1916], 전야정칙(前野貞則)[1916~1922], 가래무수(加來茂樹)[1917~1921]이다.

부산공립중학교는 1945년 8월까지 28회에 걸쳐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일제의 패망으로 폐교하였다. 해방 후 같은 해 10월 10일에 미군정에 의해 부산공립중학교[6년제]로 재개교하였다. 1950년 5월 30일에 학제 변경에 따라 부산공립중학교부산고등학교[3년제]를 병설하였고, 부산공립중학교 병설 부산고등학교는 그해 6월 22일에 설립 인가 후 첫 입학식을 가졌다[현 부산고등학교의 개교 기념일]. 1951년 9월 1일에 학제 개편에 따라 부산공립중학교가 분리되어, 부산공립중학교 3학년까지의 과정은 부산동중학교로, 부산공립중학교 4학년 이상의 과정은 부산고등학교로 각각 변경되었다.

[교육 활동]
부산공립중학교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 남학생들의 중등 교육을 담당하였다.

[현황]
부산공립중학교는 2013년 현재 부산고등학교로 명맥을 이어 가고 있다.

0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