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10년 뒤면 초고령 사회

대표시청각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19024
한자 釜山-年-超高齡社會
영어의미역 Busan to Become a Super High Aged Society After 10 Years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상도
[개설]
1945년 부산시 인구는 28만 1,160명이었다. 1876년 개항과 함께 우리나라의 무역 및 상공업 중심지로 발돋움하면서 인구가 증가세를 거듭한 덕분이다. 그리고 67년이 흐른 2012년 말 부산시 인구는 329만 2,373명이 불어 357만 3,533명이다. 그 이면에는 일제 강점기와 광복, 6·25 전쟁, 압축 근대화와 민주화 투쟁이라는 역사가 흐르고, 그 세월을 살아낸 부산 사람의 삶이 담겨 있다.

우선 28만 1,160명으로 집계된 1950년 부산으로 돌아가 보자. 그해 8월 부산은 그야말로 ‘들끓는 가마솥’이었다. 광복을 맞아 부산항으로 귀환 동포들이 물밀듯이 밀려들었다. 이 당시 부산항을 통해 귀환한 동포 가운데 재일 동포가 광복 이후 10월 28일까지 17만 6,015명에 이른다. 그리고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쫓겨 가는 일본인들은 더 많았다. 이 때 부산항을 통해 철수한 일본인은 군인 11만 5명, 일반인 9만 205명을 합해 20만 210명에 달했다.

부산시 인구는 6·25 전쟁 피난민이 몰려든 1951년 84만 4,134명으로 1945년에 비해 3배가량 늘었고, 1955년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겨 104만 9,363명을 기록했다. 이후 1972년 201만 5,162명으로 200만 명을 넘었고, 1979년 303만 4,596명으로 ‘300만 시민’ 시대를 열었다. 이러한 급격한 인구 증가는 압축적 근대화를 통한 경제 개발기 부산의 경제적 위상을 대변한다. 특히 부산항과 합판 섬유 고무 등 노동집약적 산업이라는 두 기둥이 상당한 기여를 했다.

부산시 인구는 광역시 재편과 기장군 편입이 이뤄진 1995년 389만 2,972명을 최고점으로 전반적인 감소세로 돌아섰다. 그리고 부산시는 이제 고령화라는 새로운 과제를 안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고령화를 ‘조용하게, 거의 눈에 띄지 않게 진행되지만 점차 속도가 붙어 윤곽이 분명해질 사회 혁명’으로 정의했다. 고령화가 혁명에 비견할 정도로 중요한 문제라는 이야기다. 왜냐하면 고령화가 가족 일상생활, 고용 정책, 의료 보험, 연금 제도, 재정, 산업 등 경제 사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로 막강한 파급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시는 2003년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중이 7.3%를 기록하면서 전국 7대 도시 가운데 가장 먼저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13년 13.2%에 이어 2014년 고령자 인구 비중이 14.0% 이상인 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추세라면 부산시는 2022년 고령자 비중이 20.0%를 넘어 20.6%에 달하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용두산 공원에서 찾아낸 2013년 부산 고령자들의 삶]
부산 중구 용두산 공원은 일제 강점기 신사가 있던 곳에서 6·25 전쟁 후 우남 공원으로 변신했다가 1973년 부산탑이 세워지면서 부산의 랜드마크가 됐다. 부산항을 조망할 수 있는 관광 명소로 유명세를 떨치던 용두산 공원에 어느덧 관광객 대신 자리를 차지하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늘어났으니 우선은 소일거리를 찾아 공원에 모이는 노인들이고, 다른 부류는 힙합 댄스를 즐기는 젊은이, 비보이들이다.

용두산 공원을 찾는 노인들의 숫자는 요즘도 매일 이뤄지는 무료 급식 이용자[300~400명]로 짐작할 수 있다. 이 무료 급식은 인근 사찰인 정수사가 주도하고 있다. 용두산 공원은 도심에 있어 접근성이 좋고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어울리다보니 노인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됐다.

이와 함께 용두산 공원은 청소년들이 마음 놓고 끼를 발산할 수 있는 장소가 되었으니 바로 비보이들의 난장이었다. ‘전국 힙합 메카’, ‘비보이들의 성지’ 등은 분명 또 다른 용두산 공원의 이미지이다. 이렇게 중첩된 이미지는 폭발하듯이 증가해온 부산시 인구와 어느덧 증가세가 사그라들면서 대두된 고령화 문제를 상징하고 있다.

용두산 공원에서 찾은 노인의 이미지는 ‘2013년 부산시 고령자 통계’에서 구체화할 수 있다. 2013년 부산시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45만 4,000명으로 부산시 전체 인구의 13.2%를 차지한다. 고령자 인구 비율은 13.2%로 10년 전인 2003년 7.4%에 비해 5.8% 포인트 증가했다.

주목되는 것은 고령화 추이이다. 이런 추세라면 부산시는 2014년 고령 사회, 2022년 인구 5명 가운데 1명이 고령자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2032년 고령자 인구 비율은 30%를 넘어서며 2040년엔 35.9%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13년 45만 4,000명이던 고령자 인구가 2014년 47만 7,000명, 2022년 68만 2,000명, 2032년 95만 명으로 늘어나 2040년에는 108만 2,000명에 이른다는 것이다. 이는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도는 수치이다. 고령자 인구 비율의 전국 평균은 2013년 12.2%이며 2014년 12.7%, 2022년 17.2%, 2032년 25.9%, 2040년 32.3%로 추정된다.

UN이 정의한 고령화 사회의 분류에 따르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율이 7% 이상~14% 미만인 사회, 고령 사회[aged society]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율이 14% 이상~20% 미만인 사회,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를 일컫는다. UN은 1956년 ‘고령화’라는 말을 처음 회의에서 채택했다.

부산시는 2003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2014년 고령 사회로 진입한다면 11년만이며 2022년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다면 19년만이다. 이는 고령화가 서서히 진행된 선진국에 비교할 때 광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 1894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프랑스는 고령 사회로 진입하는데 115년이 걸렸다. 프랑스보다 23년 늦은 1887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스웨덴은 85년이 흐른 뒤 고령 사회에 편입됐다. 일본도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사회 문턱에 닿기까지 24년이 걸렸다.

부산시 고령자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13년 27만 7,000가구로 전체 가주 중 21.6%를 차지했다. 고령자 가구 비율은 10년 전인 2003년 12.8%에 비해 8.8% 포인트 증가했다. 고령자 가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2022년 30%대[31.3%]에 진입하고 2029년에 40%[40.4%]대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이 또한 전국 평균을 훨씬 앞지르는 수치이다. 2013년 전국 평균 고령자 가구 비율은 19.5%이며 2022년 25.9%, 2029년 34.3%로 추산된다.

2013년 부산시 1인 가구 비율은 25.7%이며, 그 중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홀몸 노인 가구는 9만 6,000가구로 전체 1인 가구의 29.2%를 차지한다. 1인 가구 중 홀몸 노인 가구의 구성비가 해마다 늘어 2035년에는 50.8%에 이를 전망이다. 이와 함께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 가운데 1인 가구[홀몸 노인 가구]는 전체의 34.5%로 집계됐다. 2013년 부산시 65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여성 100명당 남성의 비율인 성비는 72.8%로 2003년 64.5%에 8.3% 포인트 높아졌으며 2040년엔 77.4%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013년 부산시 노년 부양비[65세 이상 인구/15~64세 인구x100]는 17.8로 이는 생산 가능 인구[15~64세]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인의 수가 17.8명임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생산 가능 인구 5.6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하는 꼴이다. 노년 부양비는 2027년 40.9로 높아지며 이는 노인 1명을 생산 가능 인구 2.4명이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부산시 노령화 지수[65세 이상 인구/0~14세 인구x100]도 덩달아 치솟아 2013년 106.9에서 2016년 99.5, 2027년 239.5, 2040년에는 373.3에 이른다. 전국 평균이 2013년 83.3, 2016년 99.5, 2027년 169.9, 2040년 288.6으로 추산되는 것과 비교할 때 그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부산시 16개 기초 자치 단체의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중은 동구[18.3%], 중구[17.8%], 서구[17.5%], 영도구[16.9%], 강서구[14.5%], 수영구[14.1%], 기장군[13.2%], 남구[13.2%], 부산진구[13.1%], 금정구[12.7%], 연제구[12.5%], 동래구[11.9%], 해운대구[10.9%], 사하구[10.7%], 사상구[9.8%], 북구[9.7%] 순으로 높다.

부산시 고령자들의 보건 복지 분야 생활상을 들여다보자.

2012년 부산시 65세 이상 고령자의 국민 기초 생활 보장 수급자는 3만 6,015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28.0%를 차지하고, 수급률은 8.1%를 기록했다. 남자 고령자 중 국민 기초 생활 보장 수급자는 5.5%[1만 280명], 여자 고령자는 10.1%[2만 5,735명]이다. 남자 전체 수급자 가운데 고령 수급자는 18.4%, 여자 전체 수급자 가운데 고령 수급자는 35.4%였다.

2012년 부산시 65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자 수는 1만 4,311명으로 남자 6,898명, 여자 7,413명이었다. 이들의 사망 원인은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순이었다. 2012년 부산시 65세 이상 고령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느끼지 않는 편임’ 45.4%, ‘느끼는 편임’ 40.6%, ‘매우 많이 느낌’ 8.1%, ‘전혀 느끼지 않음’ 5.9% 순이었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매우 많이 느낌, 느끼는 편임]가 2008년 45.4%, 2010년 46.2%에서 2012년 48.7%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부산시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21.8%이고, 고용률은 21.5%로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다. 부산시 고령자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전국 고령자의 경제 활동 참가율[30.6%]에 8.8% 포인트 낮다. 부산시 고령자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2002년 21.2%, 2003년 16.9%, 2004년 18.9%, 2005년 19.2%, 2006년 20.1%, 2007년 21.5%, 2008년 19.3%, 2009년 19.7%, 2010년 19.3%, 2011년 19.0%에 이어 2012년 21.8%에 이르기까지 20% 안팎을 오르내리며 전국평균을 한참 밑돌고 있다.

[‘28만 대 357만’ 다이내믹 부산 인구]
부산시는 2013년 직할시 승격 50주년을 맞아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고 있다. 광복 이후 부산시 인구는 1963년 직할시 승격과 함께 맞이한 성장기, 정부의 대도시 성장 억제 정책에 따른 정체기, 민선 지방 자치 시대를 계기로 한 도약기를 거치는 부산시의 역사적 궤와 그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광복 당시인 1945년 28만 1,160명이던 부산시 인구는 6·25 전쟁의 상흔이 채 가지지 않은 1955년 104만 9,363명으로 ‘100만 시대’를 맞았다. 6·25 전쟁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고 부산에 정착한 사람들과 함께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 창출 등이 인구 급증의 원인으로 꼽힌다. 직할시로 승격한 1963년 136만 630명이던 인구는 1972년 201만 5,162명으로 ‘200만 시대’로 접어들었고, 1979년 303만4596명으로 ‘300만 시대’를 열었다.

당시를 대표하는 부산의 모습 가운데 하나가 사상 공단이고 국제상사다. 사상 공단은 도심 곳곳에 있던 공장을 한데 모으기 위해 1968년 착공해 1975년 준공됐으며 주로 신발 봉제와 주물 조립 금속 등 노동 집약적 산업이 자리 잡았다. 신발 공장이 사상 공단으로 본격 진출하게 된 것은 국제화학[1973년 국제상사로 사명 변경]이 1972년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사상 공장을 완공하면서부터이다. 국제상사가 호황을 구가할 때 종업원이 1만 5,000명이 넘었다. 당시 부산의 제조업 종사자 40%가량을 신발 산업이 차지했다고 하니 ‘신발이 부산을 먹여 살렸다’는 말이 허언은 아닐 터이다.

1980년대 부산시 인구는 한해도 빠짐없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1985년 351만 6,807명, 강서구가 편입된 1989년 385만 7,312명으로 400만 명에 근접했다. 이후 1995년 광역시 재편과 함께 기장군이 편입되면서 부산시 인구는 389만 2,972명으로 정점을 찍는다. 2012년 부산시 인구는 357만 3,533명으로 1986년[358만 8,844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부산시 남녀 성별 인구 추이를 보면 1945년 남자가 14만 3,137명, 여자가 13만 9,023명으로 남자 인구가 다소 많았으나 1951년에는 남자가 41만 4,050명, 여자가 43만 84명으로 여자 인구의 비율이 높아진다. 이 시기 성비의 역전은 6·25 전쟁의 영향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이 시기 형성된 부산의 여초 도시화 흐름은 다소 차이는 있으나 지금까지 이어져 2011년 남자 179만 1,455명[49.7%] 여자 180만 8,926명[50.3%], 그리고 2012년 남자 177만 4,993명[49.3%] 여자 179만 8,540명[50.3%]을 기록하고 있다. 부산시 인구 추이를 전국 인구와 비교하면 1961년 4.67%에서 직할시로 승격된 1963년 4.95%, 1972년 7.08%, 광역시로 승격된 1995년 8.46%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2005년 7.49% 등 하락세를 반전했다.

부산시 인구 추이만큼이나 세대 수와 세대 구성원 수 변화도 다이내믹하다. 1945년 부산은 6만 4,927세대로 세대당 평균 구성원은 5.12명이었다. 직할시로 승격된 1963년 24만 5,364세대에 세대당 구성원이 5.55명으로 5명대를 유지하다 1975년 50만 4,018세대에 세대당 구성원 4.87명으로 4명 선으로 줄었다. 광역시로 개편된 1995년에는 세대수 113만 2,360세대로 급증한 반면 세대당 구성원은 3.43명으로 3명대로 떨어졌으며 2005년에는 127만 612세대에 세대당 구성원은 2.87명 세대는 늘고 세대당 구성원은 줄어드는 현상이 가속화했다.

세대수가 급증한 1970년대는 부산시가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 급격한 성장을 보여 전국에서 차지하는 위상 또한 동남권은 물론 국내 경제를 이끌어가는 핵심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시기였다. 그러나 1980년대로 접어들면서 세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세대당 구성원 수는 감소하면서 세대 분화의 가속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부산시 인구의 연령별 인구 구성에서는 고령화의 단초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1~4세와 65세 이상 인구 구성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한 1963년 0~4세 인구는 13.31%, 60세 이상 인구는 3.32%였고, 1965년에는 0~4세 인구가 11.01%, 60세 이상 인구는 3.63%를 기록했다. 이는 경제 활동 인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1975년 0~4세 인구가 12.6%, 65세 이상 인구가 1.98%로 격차가 커진 것은 1960년대의 베이비붐 현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1980년 0~4세 인구는 10.84%, 65세 이상 인구는 2.61%로 이전과 달리 연소자 인구는 주춤한 반면 고령자 인구는 증가세를 보였다. 1985년 0~4세 인구는 9.40%, 65세 이상 인구는 2.61%, 1995년 0~4세 인구는 6.79%, 65세 이상 인구는 4.56%, 2005년 0~4세 인구는 3.90%, 65세 인구는 8.27%로 1980년을 고비로 저출산 고령화 시대로 이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2000~2010년까지 최근 10년 간의 부산시 인구 추이를 자세하게 살펴보자. 부산시 인구는 2000년에 비해 2010년 7% 감소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여초도시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0~14세 미만 인구수는 10년간 32%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6% 증가했다.

인구 감소에 비해 가구 수는 2000년에 비해 11.2% 증가했다. 점유 형태에서는 월세 가구의 증가와 전세 가구의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가구원 수는 1인 가구, 2인 가구의 증가세가 뚜렷하다. 부산의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2010년에 40만 명[전체 인구의 11.7%] 수준으로 10년 사이 76.2% 증가했다.

[베이비 부머와 에코 세대의 단면]
부산시가 고령화 문제에 직면했다면 베이비 부머는 다음 단계에 닥칠 흐름이 될 것이다. 은퇴 및 고령자 인구 진입을 앞두고 있어 정책적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기 때문이다. 베이비 부머는 6·25 전쟁 종전 이후 태어난 1955년생부터 1963년생까지 인구 집단이다. 또 베이비 부머의 자녀로 1979년생부터 1992년생까지 인구 집단을 에코 세대라 한다.

2010년 11월 1일 현재 부산시 베이비 부머는 55만 7,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6.4%이며 전국 평균[14.5%]보다 1.9% 포인트 높다. 이 가운데 남자 26만 5,000명, 여자 29만 2,000명으로 여자가 2만 6,000명 더 많고, 성비[91.0]는 전국 평균[99.3]보다 낮다.

부산시 베이비 부머 55만 7,000명 가운데 1960년생이 6만 8,000명[12.3%]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1961년생 6만 4,000명[11.6%], 1962년생과 1959년생 각 11.4% 순이었다. 성비는 1962년생이 92.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1956년생 92.4, 1958년생 91.8 순이었다.

부산시 베이비 부머의 교육 정도는 고등학교는 25만 6,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10만 8,000명, 대학교[4년제] 8만 2,000명 순이었다. 남자와 여자를 비교하면, 수학 단계가 올라갈수록 남자가 더 많아지고, 특히 대학교[4년제] 이상 교육 정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배 이상 많다.

부산시 베이비 부머의 혼인 상태를 보면 ‘배우자 있음’이 81.5%로 가장 많고, ‘이혼’ 9.7%, ‘사별’ 4.9%, ‘미혼’ 3.8% 순이었다. 남자는 ‘배우자 있음’이 83.4%로 가장 많고, ‘이혼’ 9.5%, ‘미혼’ 5.3%, ‘사별’ 1.8% 순이고, 여자는 ‘배우자 있음’ 79.9%, ‘이혼’ 10.0%, ‘사별’ 7.7%, ‘미혼’ 2.4% 순이다.

이에 비해 부산시 에코 세대는 68만 1,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1%를 차지하며 전국 평균[19.9%]보다 0.2% 포인트 높았다. 남자가 35만 3,000명, 여자가 32만 9,000명으로 남자가 2만 4,000명 더 많고 성비[107.3]는 전국 평균[107.8]보다 낮다.

부산시 에코 세대는 1981년생이 5만 6,000명[8.2%]으로 가장 많고 1980년생 5만 4,000명[8.0%], 1982년생 5만 2,000명[7.7%] 순이었다. 부산시 에코 세대의 교육 정도는 대학교[4년제]가 34만 9,000명으로 가장 많으며 대학[4년제 미만] 16만 9,000명, 고등학교 13만 9,000명 순이었다. 남자와 여자를 비교하면, 수학 단계가 올라가도 비율이 비슷한 점이 베이비 부머와 다르다.

부산시 에코 세대는 ‘미혼’이 86.7%로 가장 많고, ‘배우자 있음’ 12.9%였다. 남자는 ‘미혼’이 91.8%로 가장 많고 ‘배우자 있음’은 8.6%였으며, 여자는 ‘미혼’이 81.9%로 가장 많고 ‘배우자 있음’은 17.5%였다. ‘미혼’은 남자가 많고, ‘배우자 있음’은 여자가 많다.

[부산 사람들 직업, 시대에 따라 변한다.]
2011년 부산시 총 사업체 수는 26만 3,356개로 2002년 26만 8,784개에 비해 5,428개[-2.0%]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은 33만 8,071개[10.8%] 증가했다. 부산시 총 사업체 종사자 수는 123만 1,887명으로 2002년 114만 5,605명에 비해 8만 6,282명[7.5%] 증가했고, 같은 기간 전국은 348만 4,868명[23.9%] 증가했다. 부산시 총 사업체 수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7.6%로 2002년 8.6%에 비해 1.0% 포인트 낮아졌으며 부산시 총 사업체 종사자 수의 전국 비중은 2011년 6.8%로 2002년 7.8%에 비해 1.0% 포인트 떨어졌다.

2011년 부산시 10인 이상 광업·제조업 사업체 수는 3,987개로 2002년 4,139개에 비해 152개[-3.7%] 감소했고, 같은 기간 전국은 8,461개[15.4%] 증가했다. 2011년 부산시 10인 이상 광업·제조업체 종사자 수는 13만 2,852명으로 2002년 14만 4,604명에 비해 1만 1,752명[-8.1%] 감소했고, 같은 기간 전국은 37만 1,392명[15.9%] 증가했다.

부산시 광업·제조업[10인 이상] 사업체 수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6.3%로 2002년 7.5%에 비해 1.2% 포인트 낮아졌고, 부산시 광업·제조업[10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의 전국 비중은 2011년 4.9%로 2002년 6.2%에 비해 1.3% 포인트 낮아졌다. 부산 경제를 이끌어가는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줄어들면서 전국 비중도 축소되고 있는 과정이 잘 나타나고 있다.

2012년 2분기 기준, 부산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58.2%, 고용률은 56.0%, 취업자 수는 163만 8,000명을 기록하고 있다. 경제 활동 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율을 나타내는 고용률의 2000년 이후 추이를 보면 2000년 55.3%, 2001년 55.9%, 2002년 58.1%, 2003년 55.2%, 2004년 55.6%, 2005년 55.7%, 2006년 55.9%, 2007년 55.9%, 2008년 55.1%, 2009년 54.1%, 2010년 54.3%, 2011년 54.4%로 전국 평균을 하회하며 하향 안정세를 따라가고 있다.

특히 연령별 취업자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 수는 2002년 5만 5,000명, 2003년 4만 7,000명, 2004년 5만 6,000명, 2005년 6만 2,000명, 2006년 6만 7,000명, 2008년 7만 1,000명, 2009년 7만 5,000명, 2010년 7만 6,000명, 2011년 7만 8,000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30대, 40대 상용직 근로자가 줄어드는 대신 임시직이 늘어난데다 고령자의 사회적 활동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같은 시기 산업별 취업자 구성비를 보면 2002년 농업·임업·어업 1.7%, 광업·제조업 21.4% 사회 간접 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 76.9%에서 2011년 농업·임업·어업 0.8%, 광업·제조업 18.2%, 사회 간접 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 81.0%로 광업·제조업, 농업·임업·어업의 퇴조와 사회 간접 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광복 이후 1990년대까지 추이는 어떨까.

광복 당시 부산의 산업 인구 특성을 1941년 자료로 유추해보면 부산 인구[28만 1,160명]의 96.2%가 취업 인구로 파악된다. 1차 산업 인구가 8.3%, 2차 산업 인구가 22.3%, 3차 산업 인구가 43.7%를 점하며 세부적으로는 제조업[21.9%], 상업[24.4%], 서비스업[11.0%] 인구 비중이 크다.

광복 후 일본인들이 물러가고 6·25 전쟁이 한반도를 뒤흔들면서 부산은 심한 경제적 혼란에 빠진다. 1951년 취업 인구는 43만 6,058명으로 1941년에 비해 61.1% 증가했으나 취업률은 51.6%로 급감한다. 1951년 1차 산업 인구가 9.7%, 2차 산업 인구가 9.8%, 3차 산업 인구가 46.4%를 점하였으며 상업[21.7%], 서비스업[22.1%] 인구가 비중이 높았다. 6·25 전쟁 중 임시 수도였던 부산 경제는 1953년 휴전 이후 정부의 환도, 피난민의 귀환, 기업의 서울 이전 등으로 활기를 잃었다. 더구나 1953년 국제 시장과 부산역전 대화재로 부산 경제가 더욱 나빠졌다.

1962년 부산의 취업 인구는 30만 1,024명으로 1953년보다 36.9% 증가했으나 취업률은 23.7%로 오히려 10.9% 감소했다. 1차 산업 인구가 9.9%, 2차 산업 인구가 19.3%, 3차 산업 인구가 70.8%를 점하였다. 1962년 시작된 경제 개발 정책으로 국민 총생산액이 크게 증가했고, 2차 산업 비중이 급증한다.

1차 경제 개발[1962~1966년]과 2차 경제 개발[1967~1971]로 부산시는 대도시에 집중되는 노동력과 사회 간접 자본 집적에 따른 혜택을 고스란히 받게 된다. 1972년 부산의 취업 인구는 51만 2,360명으로 1962년에 비해 70.2% 증가했고, 취업률도 25.4%로 7.2% 증가했다. 1972년 1차 산업 인구가 4.2%, 2차 산업 인구가 42.3%, 3차 산업 인구가 39.6%를 점하며 특히 제조업[34.5%]의 비중이 두드러진다.

3차[1972~1976년], 4차[1977~1981년] 경제 개발기를 거치면서 부산은 상공업 도시로서의 면모를 다지며 인근 마산, 창원, 울산 등 공업 도시를 아우르는 중추 관리 기능이 더욱 커졌다. 1982년 부산의 취업 인구 수는 96만 5,034명으로 1972년에 비해 89.0%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취업률도 전체 인구의 41.2%로 62.2%나 늘었다.

5차 경제 개발기[1982~1986년]를 거치면서 수출 주도 공업화 정책의 지속, 수입 자유화, 금융 산업 국제화, 기술 및 인력 개발 등에 따른 수출 회복으로 부산항의 물동량이 증가했고 부산 경제도 활기를 띄었다. 1988년 부산의 취업 인구수는 120만 6,574명으로 1982년에 비해 25.0% 증가했으나 취업률은 오히려 32.2%로 -21.8%의 감소율을 보였다.

[부산시 고령화 문제 어떻게 대처하나]
부산시의 고령화 대책은 △부산의 고령 사회 진입 초읽기 △기초 노령 연금의 안정적 수급 및 노인 일자리 창출을 통한 보충적 소득 확보 및 건강한 노후 생활을 위한 복지 시설 확충 △인구 증가와 함께 의식 변화, 건강과 여가, 문화와 교육에 대한 노인 복지 수요 증가 및 저출산 고령화 현상의 심화 △노인 장기 요양 보험 제도 시행에 따른 의료 및 재가 시설 증가 등으로 고령 친화 산업이 유망한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 등 여건 변화에 주목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건강하고 활기찬 100세 행복 도시 건설’이라는 정책 비전 아래 △활기찬 노후 생활 지원 △사회 안전망 구축 △고령 친화 산업 육성 △장사 문화 선진화 등 4대 정책 과제 추진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고령 친화 산업 육성과 장사 문화 선진화 등 사회 변화에 따른 신수종 산업 육성과 전통적인 장사 문화에 변화를 꾀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세부 추진 사업은 △활기찬 노후 생활 지원을 위한 노인 일자리 제공, 기초 노령 연금 지원, 무의탁 노인 명절 위로금 지원, 노인 복지관 확충 및 운영 지원, 경로당 운영 활성화, 노인 대학 및 노인 교실 운영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노인 요양 시설 인프라 확충, 노인 복지 시설 운영 지원, 노인 보호 전문 기관 운영, 노인 돌봄 서비스 제공, 치매 환자 보호 사업 추진, 노인 장기 요양 보험 저소득 노인 지원, 요양 보호사 양성, 노인 무료 급식 사업 지원 △고령 친화 산업 육성을 위한 고령 친화 산업 지원 센터 운영 지원, 고령 친화 산업 기업 지원, 노인 복지 용구 종합 센터, 2013 부산 국제 실버 엑스포 개최, 국립 노화 연구원 유치 추진, 고령 사회 전략 포럼 육성 △장사 문화 선진화를 위한 공설 장사 시설 운영 선진화, 공설 장사 시설 유지 관리, 장례식장 조화 문화 개선, 추모 공원 인센티브 사업, 장례 지도사 육성 및 교육 기관 등록 등이다.

이를 자세히 들여다보자.

안정적 노후 지원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노인 일자리 창출 확대가 시급하다. 부산시의 2013년 노인 일자리 창출 목표는 1만 8,450명이며 이를 위해 341억 원이 투입된다. 재정 지원 일자리 창출 사업으로 1만 6,350명에게 일자리를 창출하고 시비 지원 민간 분야 일자리를 1,250명에게 제공한다. 이와 함께 노인 취업 교육 24개 과정을 개설해 1만 1,500명에게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전문 경력 노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동 모델을 개발한다.

부산시의 기초 노령 연금 지급 대상은 31만 4,000명[2013년 65세 이상 노인 추계 노인 인구의 70%]이며 관련 예산은 3,381억 4,000만 원이다. 명절 위로금은 만 65세 이상 홀몸 노인[기초 생활 수급자] 2만 5,000명에게 25억 원이 지원된다.

노인 여가 복지 시설 확충을 위해 노인 복지관 확충 및 운영, 경로당 운영 활성화, 평생 교육 운영 확대에 더해 99억 원을 들여 다사랑 복합 문화 회관[부지 2,372㎡]을 건립하고 경로당 특성화 표준 모델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경로당 광역 지원 센터 한 곳을 설치 운영할 계획이다.

사회 안전망 구축도 역점 사업 가운데 하나이다.

노인 요양 시설 인프라 확충을 위해 △노인 의료 복지 시설 확충[12개 25억 5,600만 원] △노인 주거 복지 시설 확충[1개소 1억 400만원] △재가 노인 복지 시설 확충[2개소 3,100만 원]을 추진하며, 노인 복지 시설 운영 지원을 목적으로 △노인 무료 양로 시설 운영 지원[3개소 19억 6,400만 원] △노인 요양 시설 종사자 복지 수당 지원[39개소 10억 1,000만원] △재가 노인 복지 시설 운영 지원[43개소 27억 7,100만 원] △노인 복지 시설 인력 지원 센터 운영 지원[180개소 1억 7,000만 원] 등이 이뤄진다.

장기 요양 보험 제도 운영 활성화를 취지로 △의료 수급권자 요양 보험 부담금 지원[4,227명 411억 3,700만 원]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 외자 부담금 지원[360명 47억 5,600만 원] △재가 노인 지원 서비스 센터 운영 지원[40개소 25억 7,100만 원] △노인 주야간 돌봄 전담 센터 운영 지원[3개소 3억 원] △노인 장기 요양 인증제 지원[11개소 1억 원] 등이 시행된다.

노인 돌봄 서비스는 요보호 홀몸 노인 및 장기 요양 보험 등급 외자, 치매·중풍, 장애인 1~3등급자 등을 대상으로 복지관 등 94개소에서 이뤄지며 그 내용은 기본 서비스에 더해 안전 확인, 생활 교육, 학대 사례 조사 등이다. 특히 올해는 노인 보호 서비스를 강화하고자 홀몸 노인 응급 안전 돌보미 시스템 구축, 홀몸 노인 사랑 잇기 사업 등을 역점 사업으로 꼽고 있다.

고령 친화 산업은 고령 인구 증가 및 공적 연금 수혜자 증가로 시장 규모가 커지고 노인의 고령 친화 용품 수요가 증가하며 노인이 소비의 주체 세력으로 부상함에 따라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고령 친화 산업 육성 체계를 구축한다. 우선 고령 친화 산업 지원 센터 육성을 위해 △고령 친화 산업 분야 정책 및 연구 개발, 기술 사업화 지원[9개 사업] △국제 공인 시험 기관 운영 및 시험 인증 지원[220개사 1,300건] △고령 친화 용품 홍보 체험관 및 이동 노인 복지관 운영[2만 3,000명] △고령 친화 산업 기술 및 경쟁력 강화 지원[기술 지원, 박람회 참가 등 70개사] 등에 주력한다.

부산광역시 노인복지용구종합센터 는 부산 도시 철도 4호선 동래역 지하 1층[541.7㎡]에서 운영된다. 전시 체험실, 교육 시설 등을 갖췄으며복지 용구 회수, 소독, 대여, 전시, 체험, 상담, 교육 등이 이뤄진다. 지원 대상은 기초 생활 수급권자와 저소득 계층 대상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 외자 등이다.

노인생활체험관 교육지원센터 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대양 빌딩[343㎡]에서 운영되며 노후를 위한 노인 평생 교육, 유병 노인의 부양가족 지원 교육 등이 이뤄진다. 고령 친화 산업 기업 지원을 위해 기장군 오리 일반 산업 단지에 고령 친화 산업 단지를 조성한다.

부산시는 WHO 인증 고령 친화 도시 조성에 나서고 있다. 고령 친화 도시 WHO 가이드라인 8대 분야인 안전 및 고령 친화 시설, 교통 편의 환경, 주거 편의 환경, 지역 사회 활동 참여, 사회적 존중 및 포용, 고령 지원 활용 및 일자리 지원, 의사소통 및 정보 제공, 지역 복지 및 보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부산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구 문제 접근하라]
저출산 고령화는 도시 경영의 측면에서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고령화는 경제적 측면에서는 노동력의 고령화 및 노동력 감소에 따른 노동 시장의 변화, 지역 경제의 성장 잠재력 저하, 세수 감소 및 복지 지출 증대에 따른 재정 수지의 악화, 그리고 고령 친화 산업 확대 등과 같은 관련 산업 구조의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이와 함께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역할 정립, 건전한 노년 문화의 육성, 세대 간 갈등에 대한 사회적 대응, 노인 여가 복지의 강화 등 과제가 뒤따른다. 사회 복지적 측면에서는 소득 보장, 보건 의료 지원, 일상생활 지원, 주거 안정 등 노인 복지 수요의 증대와 그에 따른 재정 부담의 증가가 전망된다. 여성 및 가족 측면에서는 여성 노동력 활용의 중요성 증대, 보육의 공공성 강화 요구의 확대, 가족 형태 및 가족 가치관의 변화, 여성 노인의 빈곤화 확대 등 사회적 변화가 예상된다.

이에 더해 노령자 인구 증가와 출산율 하락에 동시에 나타나는 고령화는 필연적으로 생산 인구와 연금의 뇌관과 연결될 수밖에 없다. 생산 인구가 줄어들면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노령자 인구 증가와 함께 늘어나는 연금 수요는 국가 재정을 압박한다. 그 결과는 결국 빈곤으로 귀결된다. 그 고통은 지금 세대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우리는 베이비 부머들이 곧 고령자 대열에 접어들게 되면서 고령화 문제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 문제를 겪은 일본은 ‘고령자 보전 복지 추진 10개년 전략’ ‘신골드 플랜’에 기초하여 각종 재택 서비스나 시설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다. 또 연금 제도를 비롯한 고령화에 대비한 다양한 제도 개혁도 추진하고 있다. 고령화 문제는 분명 국가적 현안이다. 하지만 부산시도 이에 관한 장기적인 안목으로 적극적으로 대처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이다.

2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