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 물맞이

대표시청각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04201520
한자 端午-
영어의미역 Water Game on the Day of Dano
이칭/별칭 물맞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집필자 안미정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5월 5일
[정의]
부산 지역에서 단오에 건강을 위해 물을 맞는 풍습.

[개설]
단오 물맞이는 음력 5월 5일에 머리카락이 잘 자라고 몸도 건강해지길 기원하면서 물을 맞는 풍속이다. 일반적으로 물맞이는 6월 15일[유두]에 행해지나 부산에서는 5월 5일[단오], 7월 7일[칠석]에도 행해진다.

[연원 및 변천]
단오 물맞이의 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유두 물맞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동도(東都)[경주(慶州)]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에 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버린다. 그리고 계음(稧飮)[액막이로 모여 마시는 술자리]을 유두연(流頭宴)이라 한다.”는 기록이 있다. 유두에 하는 물맞이에 대한 기록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둔촌 잡영(遁村雜詠)』, 『목은 선생 문집(牧隱先生文集)』 등의 문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물은 부정한 것을 씻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옛 사람들은 물을 맞으면 몸과 마음이 정화된다고 믿었다. 또한, 단옷날 상추밭에 맺힌 이슬을 받아먹으면 그 해 부스럼이 없어진다고 믿었으므로, 논두렁이나 대밭에 난 익모초나 쑥을 뜯어 와 삶아 그 물을 먹기도 했다. 단오 물맞이는 단오에 하는 이러한 건강 기원의 일원으로 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절차]
정해진 절차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강서구 가덕도동 서중 마을과 남중 마을, 성북동 성북 마을에서 단옷날에 약물에 머리와 멱을 감고, 벼락수[폭포에서 떨어지는 물]를 맞았다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단오에는 남녀가 모여 반으로 나뉘어 그네뛰기를 하고, 또 동부·서부로 나누어 줄다리기로 승부를 겨루어 풍흉을 점쳤다.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 안평 마을에서는 널뛰기와 그네뛰기를 하고, 개쑥떡을 해 먹기도 하였다. 또 건강을 위해 창포에 머리 감기, 약초 달여 먹기, 오월 죽순으로 밥 지어먹기 그리고 물맞이하기 등을 하기도 했다. 그해 잡귀를 쫓고 액운을 막기 위해 주부가 절에 가서 부적을 가져와 방문 위나 부엌 벽에 붙였는데, 이것이 ‘단오 부적 붙이기’이다.

0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